
인류의 발전으로 인해, 지금 우리는
살기 좋은 환경에서 모든 것을 누리고 있다.
하지만, 이로 인한 환경오염 또한 심각한 실태이다.
최근 환경부는 미량오염물질
관리 강화 필요성에 따라 2022년부터
한강·금강·영산강 수계로 미량오염물질
조사를 확대한다고 발표한 바가 있다.
이에 관련하여 보건과 환경을 위협하는
여러 요인에 적절하게 대응하기 위하여
숙련 기능 인력의 양성이 필요하게 되었는데,
오늘은 이와 관련된 전문인으로서
환경기능사에 대하여 자세하게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려 한다.


환경기능사는 어떤 일을 하는가?
해당 자격은 83년 12월 20일
2급 오물 처리사로 신설되어
지금의 환경기능사로 변천되었다.
환경기능사는 쾌적하고 정온한
자연환경과 생활환경을 보전하고
보다 좋은 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대기환경, 수질 환경, 폐기물, 소음
진동 분야의 오염원에 대한 현황 파악과
조사 및 측정 실시를 통해, 관계법규에서
규정된 배출허용기준 또는
규제기준 이내로 관리하기 위하여
환경시설 유지관리 업무를 수행하는 직무이다.
생활하수나 공장에서 발생하는 산업폐기물을
정화하고 중성화하여 처리하기 위한
열교환기, 펌프, 압축기, 소각로 및
관련 장비를 조작하는 직무를 수행한다.

환경기능사 시험 준비를 어떻게 해야 할까?
해당 시험은 대기, 수질, 폐기물, 소음
진동 등에 대한 지식을 토대로,
오염물질 발생사업장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을 시험기준에서 정한 방법으로
시료 제조 및 측정분석 내용을 평가한다.
필기 과목은 대기오염방지, 폐수처리, 폐기물 처리,
소음 및 진동 방지이며, 주요 항목으로는
대기오염 방지, 폐수처리, 폐기물 처리,
소음진동 방지인데, 상세 항목으로는
대기오염 발생원, 유해가스 처리 원리,
집진장치 원리, 연료의 종류 및 특성,
화학반응, 수질오염 발생원 및 특성,
연소이론 생물학적 처리 원리, 압축,
파쇄, 절단, 증발 농축, 탈수, 건조,
매립 방법, 기초 방진 대책,
방진 재료 및 시설 등에 관한 사항이다.


실기는 작업형으로 평가되는데,
환경오염 공정시험이다. 2시간 정도 진행되며,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시 합격이다.
실기는 대기오염방지 기술, 수처리 기술,
폐기물 처리기술 및 소음진동 방지 기술 등을
활용하여 공정시험 기준에 따라 오염물질을 측정,
분석할 수 있는지 평가한다. 또한,
오염물질 처리시설물의 조작 및 운전을
할 수 있는지 평가하고 오염물질 처리시설물의
보수 및 유지관리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지 평가한다.
매년 합격자가 2,000명 이상 배출되며,
합격률 또한 높은 편으로 알려져 있다.

환경기능사의 전망은 어떤가?
분뇨종말처리장, 하수처리장, 및 오물의
수거·운반 등 전문 용역업체와
환경오염 방지 기기 제작·설치 및 시공업체,
화공, 제약, 도금, 염색 식품 및 제지업체 등
각종 공장의 폐수처리 및 환경관리 부서에
진출할 수 있다. 환경보호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생물 공학적 기법을 적용한
폐하수처리 기술, 폐기물의 무공해 처리기술
등이 개발될 전망이며 환경오염의 감시,
오염된 하수처리 시설의 철저한 관리 및
운영이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환경오염방지 분야의 기능인력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글 마무리
사회적으로 환경은 자주 이슈가 된다.
환경오염은 환경 문제에서 가장 먼저
이슈화된 문제로 사람들이 가장 직접적으로
느낄 수 있다. 오염은 사람의 활동에 의해
환경에 해를 주는 물질이 방출되는 것으로,
이로 인한 관심도 꾸준해야 한다 생각한다.
산업 발전으로, 지속적으로 이슈가 될 내용으로
해당 분야에 관심이 있다면 오늘 소개한
환경기능사 시험에 도전해보길 바란다.
'자격증소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기농업기사, 정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자 (0) | 2022.04.28 |
---|---|
품질경영기사, 시험 정보 제대로 알고 응시하자 (0) | 2022.04.27 |
일반기계기사, 시험 정보 자세히 알아보자 (0) | 2022.04.25 |
건축기사, 시험 정보 알아보고 필기, 실기 준비하자 (0) | 2022.04.22 |
승강기기사, 자격 정보 자세히 살펴보자 (0) | 2022.04.21 |